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김군자 할머니가 23일 노환으로 별세함으로써 한일정부간 위안부 문제가 국민적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이미 문재인 대통령은 2015년 위안부 합의에 대한 우리 국민들의 정서에 부합하는 조치를 약속한바 있는 만큼 새로운 방식의 문제해결이 필요하다는 여론인 것이다.
특히 김 할머니의 별세로 정부에 등록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239명 가운데 생존자는 37명으로 줄어 피해 할머니들의 한을 풀어주는 노력이 더 절박해졌다.
문 대통령은 24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김 할머니의 명복을 비는 글에서 “할머니는 16세에 납치당해 중국에 위안부로 끌려가 모진 고난을 겪으셨습니다. 그 후 일본의 전쟁범죄를 증언하고 기부를 통해 남을 돕는 일에 평생 헌신하셨습니다”라고 썼다.
문 대통령은 더불어민주당 대표이던 2015년 12월 경기도 광주 나눔의 집을 방문해 김 할머니를 위로한 바 있다.
하지만 한일 양국 정부간 위안부 합의에 대해 한국인 절반 이상이 부정적으로 보는 반면 일본인 10명 중 4명은 이를 긍정적으로 평가해 양국간 시각차는 여전하다.
한국의 민간 연구기관 동아시아연구원(EAI)과 일본 비영리단체 겐론(言論)NPO가 최근 발표한 ‘제5회 한일국민상호인식조사’ 결과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인 중 한일 위안부합의에 대해 부정적으로 평가한다고 답한 사람은 55.5%로, 긍정 평가를 내린 사람(21.3%)보다 2.6배나 많았다.
반면 일본인 중에서는 긍정적인 평가를 한 사람은 41.8%나 돼 부정적으로 평가한다고 답한 사람의 비율(25.4%)과 큰 차이가 났다.
EAI와 겐론은 지난 2013년부터 매년 설문을 통해 한일 국민의 의식을 조사하고 있다.
양국간 시각차가 여전한 상황에서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김 할머니 빈소를 찾아 2015년 위안부 합의 내용을 꼼꼼히 검토해보고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국민이 정서적으로 받아들이지 못하는 상황에서 피해자분 중 또 한 분이 흡족한 답을 못 얻고 가셨다”면서 “외교부는 합의 내용이나 협상 경과를 좀 더 꼼꼼히 검토해보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려 한다”고 덧붙였다.
문재인 정부가 이 문제에 대해 보다 전향적인 입장을 견지해야 하는 것은 대다수 국민여론이 깔려있기 때문이다.
김 할머니 별세 이후 SNS상에서는 “학대당한 끔찍한 기억을 평생 갖고도, 나라의 외면과 친일파들의 모진 말들을 들으시면서도, 결국 죄인들의 진실한 사과도, 피해 사실에 대한 인정도 듣지 못하시고 떠나시게 되어 너무 가슴이 아픕니다”라는 등 애도의 물결이 넘쳐나고 있다.
새정부는 김 할머니의 별세를 계기로 한일위안부 합의 문제에 대한 분명한 행동을 보여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